출산 후 산모의 회복과 신생아의 안정적인 돌봄을 위해
정부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산후조리 지원 제도가 바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 서비스, 흔히 말하는 산모도우미 지원입니다.
출산 직후 체력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가장 민감한 시기,
전문 관리사의 도움을 통해 산모의 회복과 아기의 초기 건강을 집중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은 누구?
기본적으로는 가구 소득 기준에 따라 지원 여부가 결정됩니다.
📌 주요 지원 기준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2025년 기준)
- 예외적으로 소득 초과 시에도 가능:
- 둘째 이상 출산자
- 장애인 산모
- 10대 미혼모
- 다문화가정
- 희귀난치성 질환 산모
- 긴급위기지원 대상자 등
➡️ 맞벌이 가정, 자영업자도 소득 환산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 포함 가능
✅ 어떤 서비스가 제공될까?
파견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산후도우미)**는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합니다:
서비스 범위 | 주요 내용 |
산모 지원 | 유방관리, 좌욕 지원, 산모 식사 준비, 정리정돈 |
신생아 지원 | 기저귀 교체, 목욕, 수유보조, 아기 옷 세탁 |
생활 지원 | 산모 방 청소, 정리정돈, 식사 도우미 역할 등 |
💡 병원 간호사가 아닌 생활 밀착형 지원이므로
의료 처치는 제공되지 않지만, 출산 직후 회복과 돌봄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이용 기간과 비용은?
이용 기간과 비용은 출산 형태, 태아 수, 가구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 기본 서비스 기간
- 단태아: 5~10일
- 쌍둥이 이상: 10~25일
📌 정부 지원금 규모
- 최소 60만 원 ~ 최대 150만 원 이상
- 이용자가 일부 본인부담금만 지불하면 됨
📌 이용 예시
- 첫째 출산 + 기준 중위소득 100% 가정: 10일 이용, 80% 이상 지원
- 셋째 출산 + 장애 산모: 20일 이상 이용, 전액 지원 가능성
✅ 신청 방법은?
서비스는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단, 조산 등 예외 상황은 별도 인정 가능)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www.bokjiro.go.kr)
- 오프라인 신청: 주민등록상 주소지 보건소 방문
- 필요 서류: 신분증, 출산확인서(또는 예정일), 건강보험 납입증명서, 가족관계증명서 등
❗ 이런 점은 꼭 주의하세요
- 정부 지정 제공기관을 통해서만 지원 가능
- 사설 산후도우미 서비스는 지원 대상 아님
- 신청 후 3일 내 배정 실패 시 '포기 물품' 대체 지원 가능 (지자체별 상이)
✅ 마무리 – 산후조리, 이제는 제도적으로 준비하세요
출산은 축복이지만,
그 후 산모의 회복과 신생아 케어는 가족만의 몫으로 넘기기엔 너무 큽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 서비스는 출산 가정의 부담을 덜어주는 실질적인 제도입니다.
산후조리가 걱정된다면, 지금 바로 지원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을 준비해보세요.
📌 정부 지원을 제대로 활용하면,
전문 도우미의 도움으로 보다 건강하고 여유로운 산후 생활이 가능합니다.
출처 참고 사이트: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
메인페이지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전체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울산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경기도충청북도충청남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제주특별자치도강원특별자치도전북특별
www.childcare.go.kr